고창읍성에 관하여는 앞에 이야기를 다 해서 그런지 따로 딱히 더 할 이야기는 없다. 그래도 그렇지 맹숭맹숭하게 사진만 덩그러니 올려놓기 민망하여 알아둬도 별로 유용하지 않겠지만 이 고창읍성의 성문에는 공북루, 등양루처럼 누(樓) 자를 붙여 이름 지었다. 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궁궐 비롯하여 각처에 여러 건물이 있는데 크기와 격에 따라 ‘전(殿), 당(堂), 합(閤), 각(閣), 재(齋), 헌(軒), 루(樓), 정(亭)’으로 구분한다. ‘전당합각재헌루정’은 품격이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가는 순서이며 건물들의 신분과 위계 질서라고 할 수 있다.
전(殿) : 가장 격식이 높고 규모도 큰 여러 건물들 중 으뜸인 건물이다. 왕, 왕비 또는 상왕 대비, 왕대비등 궐 안의 웃어른이 사용하는 건물에 붙는다. 예)근정전/강령전/교태전/자경전 등
당(堂) : 전(殿)에 비해 규모는 비슷하나 격은 한단계 낮은 건물이다. 전은 공식적 성격을 띈다면 당은 좀더 사적인 건물에 쓰이며 전데 딸린 부속건물이거나 부속공간의 중심건물을 부르는 말이다. 예)양화당/희정당/명륜당 등
합(閤)/각(閣) :모두 그러는 것은 아니나 전(殿)과 당(堂)의 부속건물이나 혹 은 그것을 보위하는 건물이다. 양정합/일신합/덕성합/규장각/동십자각/곤령합 등
재(齋)/헌(軒) ; 모두 왕실의 주요인물보다는 왕실가족이나 궁궐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건물에 붙여지는데 재(齋)는 주로 일상적 주거용으로, 헌(軒)은 공무적 기능을 가진경우가 많다. 예)낙선재/집옥재/영춘헌/정관헌
누(樓): 원두막처럼 마루를 지면으로부터 높이 띄워 습기를 피하고 통풍이 원활하도록 만든 건물로 휴식과 유희를 주목적으로 하는 건물이다. 예)경회루, 광한루, 용무루 등
정(亭): 흔히 정자이며, 휴식이나 연회공간으로 활용된다. 누(樓)와 사용의 목적은 비슷하나 정(亭)은 규모가 작고 개인적인데 비해 누(樓)는 건물이 크고 공공성을 가지며 사적인 행사보다는 공적인 행사를 위한 시설이다. 예)향원정/청의정/상양정 등
이런거 쫌 알고 고 건축물을 보면 나름 보는 재미가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몰라도 누가 뭐라고 하지는 않는다.
아래를 클릭하면 함께 여행할 수 있답니다.
여기 갈래? (여행가자) | 밴드
그동안 고생했잖아요? 이제 여행도 좀 다니며 살아요. 우리 함께 맛집 찾아서 먹고 마시고 즐겁게 여행해요~ 제대로 여행하는법 알려드려요~
band.us

어둠이 갇힌 고창읍성의 공북루.

어둠이 내리고 해가 질 무렵이면 이렇게 읍성 주변을 돌아 조명이 들어와 성벽을 비추고 있다.

낮에 보는 성곽과 또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읍성의 정문인 공북루.


성벽을 따라 길게 조명이 들어오고 있다.































'城(성)을 찾아 떠난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민왕의 한이 서려 있는 봉화 청량산성 (0) | 2018.01.11 |
---|---|
대몽항쟁의 마지막 근거지 진도 남도석성 (0) | 2018.01.03 |
호남 내륙 방어의 보루 고창읍성 (2) | 2017.12.26 |
동학 농민군의 진격로 고창 무장읍성 (1) | 2017.12.23 |
순천왜성을 찾아보다. (1) | 2017.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