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읍성에 관하여는 앞에 이야기를 다 해서 그런지 따로 딱히 더 할 이야기는 없다. 그래도 그렇지 맹숭맹숭하게 사진만 덩그러니 올려놓기 민망하여 알아둬도 별로 유용하지 않겠지만 이 고창읍성의 성문에는 공북루, 등양루처럼 누(樓) 자를 붙여 이름 지었다. 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궁궐 비롯하여 각처에 여러 건물이 있는데 크기와 격에 따라 ‘전(殿), 당(堂), 합(閤), 각(閣), 재(齋), 헌(軒), 루(樓), 정(亭)’으로 구분한다. ‘전당합각재헌루정’은 품격이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가는 순서이며 건물들의 신분과 위계 질서라고 할 수 있다. 전(殿) : 가장 격식이 높고 규모도 큰 여러 건물들 중 으뜸인 건물이다. 왕, 왕비 또는 상왕 대비, 왕대비등 궐 안의 웃어른이 사용하는 건물에 붙는다. 예)..
고창하면 선운사부터 떠오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나도 예외는 아니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선운사를 보기위해 고창을 간 적은 없어도 오직 읍성을 보기 위해서는 일부로 시간을 내어 고창을 찾아간 적은 있다. 고창여행은 크게 고창읍성과, 고인돌 박물관을 비롯한 고창 고인돌지구와 선운사등으로 굳이 나눈다면 나눌 수 있는데 이번엔 고창읍성만 이야기 할까 한다. 사실 고창 읍성도 주간과 야간으로 나눌려고 하는데 그것은 지난번 공주 공산성처럼성의 주간과 야간의 조명 아래서 보는 느낌과 분위기가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전에도 이야기했듯 성곽의 여행은 최소 3번정도는 성곽을 따라 걸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번은 성벽 위를, 한번은 성벽을 따라 외곽을 그리고 한번은 야간에~ 성을 돌아봐야 그 성이 지닌 매..
공주에 다녀왔다. 일이 있어서 이기도 하지만 가끔은 그냥 공산성에 오르기 위해서도 간다. 난 유독 성을 좋아한다. 그래서 카테고리에 성벽에 오른다고도 해 놨다. 정작 올려진 사진은 별로 없지만 다녀온 성은 무쟈니 많다. 대게 우리나라의 성은 낙안읍성이나 해미읍성등 몇몇의 읍성을 제외하면 산성이 대부분이다. 물론 산성이라는 이유로 덜 훼손된 부분도 있지만 산성이 많은 이유는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성과 시대적 방어체계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러다보니 성을 둘러보려면 늘 산성에 가야하고 산성은 말 그대로 산에 있다. 다시말해 열나 올라야 한다. 앞에서도 몇번씩 이야기 했지만 나처럼 타고난 저질 체력으로 산에 오른다는 것은 딱 하기 싫은 일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성벽에 올라서 성을 타고 둘러보는 재미가 산을 오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