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무장 읍성에 대한 내용은 포스팅한 적이 있고, 고창읍성과 더불어 여행할 때 꼭 들리는 장소이기도 하다.
이 무장읍성의 매력에 빠지면 그냥 지나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호젓하고 사람도 없고 산책과 더불어 여유를 즐기기 그만이다.
무장읍성에 관한 다른 사진과 내용은 아래를 클릭하면 찾아볼 수 있다.
https://jail6039.tistory.com/entry/동학-농민군의-진격로-고창-무장읍성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高敞 茂長縣 官衙와 邑城)는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이다. 1991년 2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346호로 지정되었다. 무장읍성(茂長邑城)은 남문인 진무루에서 무장초등학교 뒷산을 거쳐, 해리면으로 가는 도로의 좌편까지 뻗어 있다. 성의 둘레는 약 1,400m, 넓이는 43.847평이다. 성내에는 객사·동헌·진무루 등 옛 건물이 그대로 남아 있고 건물 주변에는 여러 가지 유구들이 산재해 있다.
그동안 흙으로 축조된 토성으로 알려져 왔던 이 성이 공사 때에 성벽 동쪽 끝부분의 단면이 드러났었는데 성곽일부가 흙과 돌을 섞어서 축조된 것임이 밝혀졌다. 1915년에 발견된 '무장읍지'에 의하면 조선 태종 17년(1417) 병마사 김저래가 여러 고을의 백성과 승려 등 주민 2만여 명을 동원하여 그해 2월부터 5월까지 만 4개월 동안에 축조했다고 전한다.
높고 험한 산기슭을 따라 이어지는 산성이나 국왕의 권위를 상징하듯 하늘 높이 시야를 가리는 궁성들은 사람의 접근을 막는 ‘단절’에 목적을 둔다. 하지만 나지막한 평지로 아담한 담을 둘러가는 읍성을 바라본다면 날카롭고 매서운 군사적 용도의 시설물이라기보다 그 안에 사는 사람들에게 ‘우리’라는 공동체의식을 가지게 하는 울타리라는 느낌을 받는다. 우리나라의 읍성 중 제작연대가 정확하게 알려진 유일한 읍성인 무장읍성은 조선 태조 때에 빈번하게 침입하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1.4㎞의 둘레를 가진 읍성은 진무루 주변의 석축 성곽을 제외하면 대부분 흙으로 다져진 토성이다. 아직도 조선시대 당시의 객사, 동헌 등의 시설물이 무장초등학교 주변에 남아 있다. 건축 당시에는 2만여 명의 인력이 동원되어 여장과 옹성, 성 밖으로 해자까지 두른 견고한 모습이었다. 동학농민운동 당시 고부 봉기로 군수 조병갑을 몰아내고 해산한 후 보복하듯 관군들의 횡포가 이어지자 정읍, 부안, 고창일대의 농민군과 동학세력이 모여 나라를 바로 세우기 위한 거사를 시작한 역사의 장소이기도 하다.
아래를 클릭하면 함께 여행할 수 있답니다. 오세요~
여기 갈래?- 커피,카페, 맛과 아름다운 여행지를 함께..... | 밴드
우리는 커피, 카페, 맛집과 감성이 있는 아름다운 여행지를 찾아 여행하며 일상과 추억을 공유하는 친목 여행밴드 입니다. 가성비 최고의 여행을 추구하며 어떻게 해야 제대로 여행할 수 있는지
band.us






누각의 명칭에서 읍(揖)은 고전용어로 인사하는 예(禮)의 한 가지. 두 손을 맞잡아 얼굴 앞으로 들어올리고 허리를 앞으로 공손히 구부렸다가 몸을 펴면서 손을 내리는 행위, 즉 배(拜)보다는 가벼운 예법의 하나이며 취(翠)는 금조(禽鳥)의 하나였던 물총새. 자주호반새와 물총새를 아울러 일컫는 말로 선비들이 좋아하는 단어였다.
다시말하면 읍취루(揖翠樓)는 예(禮)를 갖추며 금조(禽鳥)를 만나는 곳, 즉 업무를 보았다는 것보다 아전들과 외부인들을 맞이하여 잠시 환담하며 회합을 갖는 등 공간이었다. 규모는 정면 4칸에 측면 2칸의 누각이다. 여지승람에는 읍취루(揖翠樓)를 신루(新樓)라고 했으며 현감 최검(崔儉 1493~1497)이 부임했으나 누각이 협소하고 쇄락하여 조선 성종 24년 증축해 짓고 '읍취(揖翠)'라 이름지었다고 전하고 있다. 무장읍지에는 "在客館南取察民憂喜之意名之○金廈梴有記新樓在客館東後改爲挹翠樓"라고 전하고 있다.




선조 14년에 건립된 무장현의 객사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4호로 지정되었다. 객사 건물은 주관(主館)과 좌우 익헌으로 구성되는데, 홑처마 맞배지붕으로 지어져 위엄을 지니면서도 은은한 아름다움을 갖고 있다. 주관은 궐패(闕牌)를 모셔두고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현감과 대소 관헌이 모여 한양의 대궐을 향해 배례하던 곳이다. 좌우 익헌은 왕명을 받고 지방에 파견되는 관리들의 숙소로 쓰였다.
무장객사의 주관은 정면 3칸에 측면 3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인데 계단 난간석에는 태극무늬가 그려져 있고, 계단 양옆의 축대 돌에는 연꽃과 화병에 담긴 꽃이 새겨져 있다. 객사 왼편 나무숲이 우거진 옆에 무장을 거쳐 간 수령, 방백들의 영세불망비들이 수십여 개 세워져 있다. 운동장으로 들어서면 멀리서 손짓하듯 서 있는 건물이 보이는데 그것이 무장동헌이다. 1914년 무장과 흥덕현이 고창에 통폐합되기 전까지 무장현감의 집무실로 쓰였던 무장동헌은 조선 명종 20년에 세워졌는데, 정면 6칸에 측면 4칸의 팔작지붕 집이다.



객사는 송사관(松沙館)이라 하여 옛 무송·장사의 끝자를 따서 이름지었다.
























'城(성)을 찾아 떠난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양의 숨겨진 보물 단양 적성산성과 신라적성비 (1) | 2019.06.12 |
---|---|
고구려의 꿈 단양 온달 산성 (0) | 2019.06.12 |
청주 정북동 토성 (3) | 2019.06.01 |
천년의 요새 보은 삼년산성 (1) | 2018.11.05 |
영광과 승리를 간직한 행주산성 (4) | 2018.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