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구불길 6-1길을 군산 탁류길이라고도 한다.
구불길은 총 8개 코스로 군산시내와 일대의 섬까지 망라되어 있다.
그중에 지난번에 8코스인 고군산길은 이미 올린 바 있다.
http://jail6039.tistory.com/129
백릉 채만식의 소설 ‘탁류’의 배경지인 군산의 원도심을 중심으로 일제강점 시대에 남겨진 역사의 흔적을 통해 우리 선조들의 삶의 애환을 경험하며 과거를 되돌아 보는 길이다. 군산의 근대역사 벨트화 사업으로 조성된 각종 전시 관람 시설을 통해 시간여행을 하고 맛집이 밀집되어 있다.
백릉 채만식의 소설 ‘탁류’와 조정래의 소설 ‘아리랑’의 배경지가 밀집되어 있는 군산의 원도심은 가까운 곳에 역사적의 숨결과 문학이 베어있는 곳으로 우리 한민족의 아픔과 항쟁을 배우고 과거로의 시간여행을 하는 곳이다.
군산근대역사박물관에서 탁류길 여행이 시작되는데 박물관은 ‘역사는 미래가 된다’는 모토로 과거 무역항으로 행상물류유통의 중심지였던 옛 군산의 모습과, 전국 최대의 근대문화자원을 전시하여, 서해 물류유통의 천년, 세계로 뻗어가는 ‘국제 무역항 군산’의 모습을 보여주는 곳이다.
근대역사 박물관 옆에 주차장이 잘 정비되어 있고 이곳에 주차를 하면 진포해양테마공원을 비롯하여 인근의 근대 건축물들을 두루 둘러볼 수가 있다.
또한 이 탁류길은 군산 도심을 따라 걷는 코스로 봄가을에 가장 걷기좋은 코스라고 한다.
특히 봄철에는 월명공원 벚꽃 군락지를 따라 여행할 수 있어 여행의 즐거움이 두배가 된다. 전봇대와 같이 지주형 기반시설물에 간이이정표를 설치하여 길을 안내하고 있지만 도심 여건 특성상 길 찾기는 다소 어렵다. 그럴땐 그냥 건너 뛰어도 누가 뭐라 하지 않는다.
-출처 두루나비에서 참고 하였음-
군산근대역사박물관~(0.07km)구)군산세관~(0.23km)월명동주민센터~(0.17km)수덕산공원~(0.23km)군산서초등학교~(0.15km)해망굴(홍천사)~(0.3km)월명공원수시탑~(0.14km)바다조각공원~(0.23km)구불길탐방지원센터~(0.4km)신흥동일본식가옥~(0.3km)초원사진관~(0.35km)이성당~(0.25km)한일교회~(0.05km)구)법원~(0.15km)고우당게스트하우스~(0.35km)동국사~(0.4km)금광삼성A~(0.5km)선양동해돋이공원~(0.15km)정주사집문학비~(0.22km)한참봉쌀가게문학비~(0.24km)개복동예술인의거리~(0.22km)우리문고~(0.33km)빈혜원~(0.13km)군산진사적비~(0.16km)구)조선은행~(0.1km)군산농수산물홍보갤러리~(0.08km)미즈카페~(0.1km)군산근대역사박물관
거리는 6km 정도이며 시간은 1시간 30 소요 된다고 나오는데 중간에 뭐 쉬고 놀고 차도 한 잔 마시다 보면 더 걸릴 수 있다.
아래를 클릭하면 함께 여행할 수 있답니다.
여기 갈래? (여행가자) | 밴드
그동안 고생했잖아요? 이제 여행도 좀 다니며 살아요. 우리 함께 맛집 찾아서 먹고 마시고 즐겁게 여행해요~ 제대로 여행하는법 알려드려요~
band.us

군산의 랜드마크가 되어버린 옛군산세관.
(구)군산세관은 전라북도 기념물 제87호로 벨기에에서 수입한 적벽돌로 된 유럽 양식의 건물로, 서울역사와 한국은행본점 건물과 같은 양식이다.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독일인이 설계하였고, 광무 3년(1899) 인천세관 관할로 군산세관을 설치하였고, 1908년에 준공하였다. 국내 현존하는 서양 고전주의 3대 건축물 중 하나이다. (구)군산 제3청사는 일제강점기 건물로 추정하며 건축물의 공간구성이나 외관형태 등의 건축양식을 보면 일제강점기 동안 지어졌던 건물들이 서양의 고전적 경향을 모방하던 양식주의 경향에서 점차 모더니즘 경향으로 변화하는데 그 과도기적인 단계의 건축양식을 보여준다.

진포해양테마공원 앞에 주차를 하고 몇걸음 나서면 바닷가의 어선들이 보인다.



진포해양테마 공원에 들어선다.


진포해양테마 공원에 전시되어 있는 옛 군사장비들. 사진은 과거 가을의 사진도 섞여 있다.








군산근대역사 박물관 뒤에 있는 내항 배수 펌프장이라는데~ 참 독특하다.

군산근대건축관. 진포해양테마공원 인근에 있다.




가을의 군산 근대건축관.




군산 근대미술관.







군산 근대역사박물관. 꼭 들어 가보시길 권장한다.

위 군산 근대역사박물관 바로 옆에 옛군산세관이 있다.

옛군산세관의 뒷모습.

옛군산세관의 내부.

조선식량영단 군산출장소.
조선식량영단 군산출장소는 철근콘크리트 2층 건축물로서 지붕이 철근콘크리트 평슬래브로 되어 있으며, 평면은 전체적으로 L형으로서, 도로 가각부는 원형으로 처리하였고 그 상부에 상징적인 수직 조형물을 두어 중심성을 강조하였다. 중일전쟁 이후 국가가 식량 가격 및 유통량을 조절·관리하기 위해 설립한 조선식량영단의 군산출장소 건물로 일제에 의한 호남평야 지역 쌀 수탈의 역사를 간직한 증거물로 가치가 있다.

해망굴.
해망굴은 군산시의 월명산 자락 북쪽 끝에 자리한 해망령을 관통하는 터널로써 수산물의 중심지인 해망동과 군산 시내(당시 행정의 중심지인 명치통)를 연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1926년에 시작된 제3차 축항공사를 통해 화물하치장 확대, 부잔교 추가설치, 창고건설 등이 수행되었고 해망굴도 이 과정에서 완공된 것이다. 한국전쟁 중에는 군산에 진주한 인민군 지휘소가 이곳에 자리하여 매일 같이 연합군과 공군기들의 기관총 폭격을 받아 총알자국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그 옆에 흥천사가 있으며 일제시대 일본인이 창건한 안국사라는 사찰에 기원을 두며, 광복 후에는 충의사로 불리다가 1964년에 흥천사로 개칭하였다. 일제시대의 일본인 사찰의 흔적은 건물 본체 우측에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이 새겨진 입석 모양의 자연석에서만 발견할 수 있다. 이곳에서 월명공원으로 오르면 군산을 지켜주는 수시탑이 있는데 이 탑은 1968년에 군산의 발전을 기원한다는 뜻에서 성시탑(盛市塔)이되었다가 얼마 후 다시 군산시를 수호하는 탑이라는 의미의 수시탑(守市塔)으로 개칭되었다. 높이는 28m로 군산의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돗을 펼친 매의 모습과 활활 타오르는 횃불을 형상화하였다. 수시탑 주변은 사진 촬영 장소로 유명하며, 군산항과 공업단지, 금강 입구와 충남 장항, 금강하굿둑과 오성산, 군산의 원도심을 조망할 수 있는 장소이다.


해망굴을 지나 월명공원으로 오르다 보면 보인다.

월명공원으로 오르는 계단.

군산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월명공원은 군산시 중심에 위치하여 시민들의 안식처이며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봄에는 화려한 벚꽃, 동백꽃과 가을에는 아름다운 단풍이 시민들을 유혹하며, 정상에 오르면 금강과 서해바다가 한눈에 들어온다.



월명공원에서 내려와 다시 도심으로 들어가는 길에 만난 찻집.

일본식 가옥.
신흥동 일본식가옥은 전라북도 등록문화재 제183호로 일제강점기에 군산에서 포목점과 소규모 농장을 운영하던 일본인이 건립한 일본식가옥으로 ‘ㄱ’자 모양으로 붙은 건물이 두 채 있고 일본식 정원이 있는 2층 가옥으로 일제강점기 일본인 지주의 생활양식과 이들의 농촌 수탈 역사를 알 수 있다. 영화 ‘장군의 아들’, ‘타짜’ 등의 촬영지이다. 일본식 가옥체험을 할 수 있는 고우당 게스트하우스가 있다.
동국사는 전라북도 등록문화재 제64호로 개항 후 들어온 일본 조동종(曹洞宗) 사찰인 금강사로 건립했으나, 광복 후 조계종 사찰 동국사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른다. 대웅전과 승려들이 거처하는 요사채는 복도로 연결되고, 지붕 물매는 급경사를 이루는 등 일본 사찰 건축 양식을 따른 우리나라에 유일한 일본식 사찰이다.
선양동해돋이공원은 월명공원 벚꽃을 감상하는 명소이고 ‘탁류’에서 나오는 둔뱀이(둔율리), 개복동, 정주사 집자리가 인근에 있다. 이 공원 조망대에서는 멀리 동국사와 월명공원, 미원리(현재 미원동)와 흙구더기(오늘날 동흥남동 주공APT 근처)지역이 보인다. 당시 이곳의 지명은 산산정 이었다. “탁류‘에서도 이 지명이 나온다. 탁류에서 절대 빼고 이야기 하면 안되는 콩나물고개, “탁류”에서 ‘개복동서 둔뱀이로 넘어가는 고개를 콩나물고개라 하는데’ 내용으로 나오는 고개로 개복동에서 창성동으로 올라가는 고개를 말한다. 한참봉 쌀가게가 이곳에 있었다. 이렇게 불린 이유로 2가지 설이 있다. 그 하나는 당시 개복동과 창성동에 사는 조선인들이 한 푼이나 벌어보려고 부업으로 가정마다 콩나물을 길러 이 고개에서 팔았다는 설이다. 또 하나는 언덕 비탈에 의지한 초가집, 납작한 토막집, 오두막집이 빼곡이 들어차 있는 모습이 마치 콩나물 길 듯 주워 박힌 동네 모양새에서 생겼다는 설이다. 후자의 설이 더욱 애용되고 잇다. 고개를 지나 개복동예술인의 거리를 통과하는데 이곳은 일제시대 연극과 영화를 동시 상영하는 다기능 공연장인 군산좌(군산극장,우일씨네마)가 있었고, 인근에 영화상영관인 희소관((구)국도극장)있었다. “탁류”에서는 ’전주통이라고 부르는 동녕고개를 지나‘라는 내용이 나온다. 당시 전주로가는 도로라고 하여서 전주통(현재 월영동 사무소에서 옛 만춘향 인근까지의 거리)이라고 하였으며, 지역명칭은 원정이었다.
이곳은 조선식산은행군산지점((현) 제일은행 자리)와 조선상업은행군산지점(현)전북은행장미동지점 자리) 등이 은행이 있었다. 빈해원은 오랜 전통을 가진 군산의 대표적인 중화요리 전문점이다. 이건물이 건립된 것은 빈해원이 처음 영업을 시작한 1950년대 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구) 조선은행 군산지점의 건너편에 위치하고 있어 당시에는 군산시의 상업과 금융의 중심지였던 곳에 위치한 식당이었다. 조선총독부 직속은행인 (구)조선은행은 일제 식민지 지배를 위한 대표적인 금융 시설로 1923년에 건립되었으며, 일제강점기 채만식의‘탁류’(고태수는 이 은행의 당좌계에 근무하였다.)에 등장하기도 한 이 건물은 군산의 근대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물이다.
1909년 대한제국의 국책은행으로 설립된 (구)한국은행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한일합방 후 일제 조선총독부의 직속은행인 조선은행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구)일본 제18은행 군산지점은 전라북도 등록문화재 제372호로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곡물 반출과 토지 강매를 위한 목적으로 설립한 금융기관 건물 가운데 하나로 일제강점기 초반에 지어진 은행 건축물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단층의 본관과 2층의 부속 건물로 구성되었으며, 은행 건축에서 필요한 금고를 딴채로 둔 독특한 형태이다. - 출처 두루나비-


도심을 걷다가 만나는 독특한 건물과 가게가 참 반갑다.


그 유명하다는 초원사진관.
'걷기 좋은길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회하지 않을 가을의 금성산성 (5) | 2018.10.09 |
---|---|
원주 역사문화순례길(산소길) (0) | 2018.09.27 |
호남제일루(湖南第一樓) 남원 광한루 (2) | 2018.08.03 |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의 유배처 다산초당 (1) | 2018.07.23 |
아끼는 사람과 걷고 싶은 보성 녹차밭 (0) | 2018.07.20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